미월(未月)의 특징 (양력 7월7일 ~ 8월6일 경)

2021. 8. 21. 13:07운세

728x90
반응형
728x170

 

1) 미월은 소서와 함께 시작한다. (양력 7월7일경)

- 24절기 중 열한번째에 해당하는 절기. 하지와 대서 사이에 든다. 음력으로 6월, 양력으로는 7월5일 무렵이며, 태양이 황경 105도의 위치에 있을 때이다. 소서는 '작은더위'라 불리며, 이때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된다.

- 중국에서는 소서무렵의 15일을 3후(三後)로 나누었는데, 고려사(高麗史)의 기록에 소서는 6월의 절기로 초후에는 따뜻한 바람이 불어오고, 차후에는 귀뚜라미가 벽에서 살며, 말후에는 매가 새를 잡기 시작한다고 하였다.

- 이 시기는 여름 장마철로 장마전선이 한반도 중부지방을 가로질러 장기간 머무르기 때문에 습도가 높고 비가 많이 내린다. 예전에는 이때쯤이면 하지 무렵에 모내기를 끝낸 모들이 뿌리를 내리기 시작하는 시기로, 농가에서는 모를 낸 20일 뒤 소서 때에 논매기를 했다. 또 이때 논둑과 밭두렁의 풀을 베어 퇴비를 장만하기도 하고, 가을보리를 베어낸 자리에 콩이나 조, 팥을 심어 이모작을 하기도 하였다.

- 이 무렵은 더위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때여서 과일과 채소가 많이 나며, 밀과 보리도 이때부터 먹게 된다. 대체로 음력 6월은 농사철치고는 한가한 편으로 밀가루 음식을 많이 해먹는다.

- '에너지와 열정이 굉장히 많은 때'이다.

 

 

2) 미월 중반에는 대서(大暑)가 있다. (양력 7월 23일경)

- 24절기 중 12번째 해당하는 절기. 소서와 입추 사이에 든다. 대서는 음력으로 6월에 있으며 양력으로는 7월 23일 무렵에 든다. 태양의 황경이 대략 120도 지점을 통과할 때이다.

- 옛날 중국에서는 대서 입기일로부터 입추까지의 기간을 5일씩 끊어서 삼후로 하였는데 고려사의 기록에 보면 대서는 6월 중기로 초후에는 썩은 풀에서 반딧불이 나오고, 차후에는 흙에 습기가 많으며 무덥고, 말후에는 큰 비가 때때로 온다고 하였다.

- 이 시기는 대개 중복 대로, 장마가 끝나고 더위가 가장 심하다. 예부터 대서에는 더위때문에 "염소뿔도 녹는다"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이다. 여름의 토용은 이 계절에 들어간다. 토용이란 토왕용사의 준말로 토왕지절의 첫날을 말한다. 토왕지절은 오행설에서 토기가 왕성하다는 절기이다. 사계절은 사립(四立, 입춘, 입하, 입추, 입동)에서 시작하므로 사립 전의 18일간이 토에 배당되는데, 토왕용사에 태양은 각각 황도 위의 황경 27도, 117도, 207도, 297도의 위치에 온다. 오행설에서 유래한 것이지만, 태양의 황경에 기준을 둔 것이므로 계절의 변화와 일치한다. 특히 겨울의 토왕용사는 혹한의 시기이고, 여름의 토왕용사는 혹서의 시기이다. 이것을 각각 겨울의 토용, 여름의 토용이라고도 한다. 토왕용사에 흙일을 하면 해롭다는 속신이 전해지기도 한다.

- 대서는 중복 무렵일 경우가 많으므로, 삼복더위를 피해 술과 음식을 마련하여 계곡이나 산정을 찾아가 노는 풍습이 있다. 때때로 이 무렵 장마전선이 늦게까지 한반도에 동서로 걸쳐있으면 큰 비가 내리기도한다. 불볕더위, 찜통더위도 이때 겪게 된다. 무더위를 삼복으로 나누어 소서와 대서라는 큰 명칭으로 부른 것은 무더위에 대한 경각심을 깨우쳐주기 위함이다.

- 열기와 습기가 최고조에 달하는 때이므로 양질 변환의 시기가 되어진다. 질풍노도의 시대(에너지가 넘치고 야망이 최고인 때)가 될 수 있다.

- '더위먹은 증세'의 결과를 낳는 후유증을 겪을 수 있다.

- 미월에는 정화 9일, 을목 3일, 기토 18일로 나뉜다. 소서의 시기에는 정화 9일과 을목 3일 기토 3일이 들어가고, 대서의 시기에 기토가 15일이 들어간다.

 

 

3) 정화(丁火)가 작용하는 시기 (양력 7월7일 경)

- 이 시기는 서양심리학의 게자리 전반과 후반 중에서 후반에 속한다.

- 정화는 열(熱)이다. 쇠를 녹일수도 있는 열이다.

- 화질이기에 빛과 열의 작용을 하게 되니 물을 데우고 불을 내기도 하는 작용을 한다.

- 본질은 생장적이며 형식은 주동적이다.

- 정화는 임수를 합하여 충성하며, 木을 감싸서 효도한다. (쉽게 설명하면 임수는 물이므로 공기 중에 분산되어 있는 물을 정화가 끌어당겨 습도를 만들어 木(식물)에 수분을 공급하게 되니 木 입장에서는 반가우니 효도하는 셈이 되는 것이다.) 이게 정임합목(丁壬合木) 작용이다. 未土에는 甲木 庫, 乙木 養地가 되는 것은 시기적으로 갑목은 생장을 마친 시점이니 쉬게 만들고, 을목은 여전히 보호받으며 활동할 시점이니 정화가 그를 돕고있는 것이다.

- 정화는 임수를 모아서 응결하게 하는 작용을 하니 심령이다. 심령은 신령과 대비가 되는데, 신령이 외부의 거대한 힘으로 다가온다고 하면, 심령은 내부에서 일어나는 영적인 현상이다. (고요하고 깊은 바다 위에 퍼져있는 작은 물방울들을 뜨거운 열기가 흡수를 하면서 응결을 시키듯 인간에게는 심령이 내부에서 일어나는 정신적인 면으로 비유가 되겠다.)

- 열기가 없다면 식물은 성장할 수가 없을 것이다.

- 병화는 직진성이라면 정화는 유연성이 있다. 이는 정화는 유중(柔中)이라는 해석을 할 수 있다. 지구 중심에 용암이 있듯이 정화의 열기는 '중심'과 '중앙'으로 표현할 수 있다. 결국 밝음과 뜨거움으로 녹이는 두 가지의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표현이 된다.

- 임수를 끌어당기는 능력으로 인해 신기하고 이상야릇한 것에 어쩔 수 없이 매혹되는 성향이 있다. 임수는 어둡기 때문에 인생의 어두운 측면에 끌리는 경향이 있어서 범죄나 불법적인 행위의 유혹을 받을 수 있는데, 사람에 따라서는 극단적인 타입의 친구를 사귀기도 한다. 욕망을 잘 컨트롤하지 못할 수 있다. 

- 특히 어떤사람에게 사랑의 감정이 일어났을 때 상대가 빨리 반응을 보이지않는 경우에는 강박관념에 가까운 정신적인 고통을 겪는다.

- 삶의 공간을 불꽃이 일듯이 화려하게 꾸미는 경향도 있고 씀씀이가 큰 사람도 있다. 어릿광대같은 장난기와 민감성을 적절히 발휘함으로써 다른사람의 삶에 없어서는 안되는 가치있는 사람이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 정화의 불꽃답게 다른사람에게 자신의 가치를 알리는 방법과 자기가 원하는 것을 얻는 방법을 잘 알고있다. 주변상황을 다루는데 명수들이며 결단력을 갖고 원하는 것을 향해 다이내믹한 드라이브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 이들은 대부분 뛰어든 일에서 분명한 실제적인 결과를 얻는다. 집에서나 밖에서나 팀의 멤버로서 무대뒤에서 힘을 행사하는 경향이 있다. 감독자질과 비평가 자질을 지니고 있다.

- 다른사람의 약점이나 부족한 점을 한눈에 파악하는 육감이 있다. 그래서 상황이 아무리 꼬여도 적절한 치료책을 제시하고 올바른 방향을 지시하는 능력이 있다.

- 불답게 인간관계에서 이들은 관계를 맺고 싶은 욕구가 있어도 애매모호한 관계나 불안정한 협력관계에는 쉽게 뛰어들지 않는다.

- 친구나 가족사이에서는 부드럽게 애정을 주고받는 사람이면서, 때로는 다른 사람이나 상황을 컨트롤하려는 성향을 지나치게 나타낼 가능성도 있으며, 경제문제같은 것은 다른사람의 간섭을 받지않고 혼자서 잘 해결해 나간다.

- 이들은 자기가 하는 일이 모두에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4) 을목(乙木)이 작용하는 시기 (양력 7월17일 경)

- 을목은 비록 연약하지만 축토와 미토에 뿌리를 내릴 수 있고, 정화를 품고 병화가 있으면 酉金과 申金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 정화는 지온(地溫)이고 병화는 기온(氣溫)이 되니 을목이 성장하는 데에는 이 둘이 필요하다. 이 둘을 지녔다면 1년 사계절 성장하는 나무가 되어 金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 그러나 지지에 습기가 과중하면 목의 뿌리가 썩듯이 을목에게는 과습하면 뿌리가 썩으므로 의지할 곳이 필요한데, 갑목이 있으면 의지할 수 있으므로 성장이 보장이 된다.

 

- 정화 속 을목은 다른사람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며 기다리는 법을 안다. 주변에서 돌아가고 있는 상황에 대한 관찰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행동을 개시할 시점을 정확하게 포착하는 능력이 있다.

- 불볕더위의 시기는 정화로만 되는 것이 아니므로 병화는 태양, 정화는 달로 비유를 하면 을목은 달처럼 감성적이고 정화의 영향을 받아서 수용적인 면과 태양처럼 뜨겁고 적극적인 면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 을목 입장에서는 정화는 식신이고 기토는 편재가 된다. 그러므로 다른사람이 자신의 심리상태를 조정하려는 시도에 대해 저항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이들의 심리상태를 이쪽에서 저쪽으로 강제로 밀어붙이는 것은 불가능하거나 대단히 어렵다.

- 장마철을 대비하려는 사람들처럼 불안한 환경에서 자신을 보존하기 위해서 가정처럼 친숙한 환경을 지키고 가꾸는 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바칠 수 있다.

- 다이내믹한 성향을 가지고 있다. 대개 사업이나 연애나 여가활동 등에서 흥분과 자극을 갈망하며 위험한 일에 겁없이 도전하는 경향이 있으며, 몰두하는 정도가 비정상이랄 정도로 지나칠 가능성이 있다.

 

 

 

 

5) 기토(己土)가 작용하는 시기 (양력 7월20일 경)

- 이 시기는 서양심리학의 사자자리의 전반과 후반 중에서 전반에 속한다.

- 지지의 기토는 토양이고 식원(食原)이다. 기토는 습기가 있다. 축토에는 계수가 존재하고, 미토에는 정화가 끌어당긴 임수가 보이지 않게 존재한다.

- 기토는 낮고도 습한 성분이며, 중심을 잡으면서 올바름을 저장한다. 목이 왕성해도 근심하지 않으며, 물이 미쳐날뛰어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불이 적으면 불을 어둡게 하고, 금이 많으면 빛나게 해준다. 만약 만물을 왕성하게 하고자 할 때에는 도와주고 곁들어줘야 함이 마땅하다.

- 기토의 중정은 축장(蓄裝)으로 필요한 성분을 내장하고자 한다. 정화가 끌어당겨 만든 비를 축장하여 가을의 결실을 맺게 만드는 비옥한 땅으로 만들어간다. 그러므로 식물과 동물에게 이로운 땅이 된다. 그래서 '목이 많아도 근심을 하지않는다'는 말을 하게 된다. 아울러 '물이 많아도 두려워하지 않는다'는 말도 같은 이치이다.

- 기토는 화의 기운으로부터 힘을 받지 않고서는 활동을 할 수가 없으므로 화의 부족함을 걱정하는 것이지 화가 많은 것을 걱정하지 않는다. 자연의 섭리상 넘치고 변화를 하게되어 있어서 많은 화는 수를 끌어당겨서 불이 나지 않고 비를 내리게 하므로 기토에게는 많은 화도 감당가능하다.

 

- 난관 앞에서도 뱃심이 좋게 버티는 힘과 정신적인 용기와 결단력이 대단하다. 위기상황이나 긴급한 사태를 맞아도 잘 흔들리지 않는다.

- 기토 입장에서는 정화는 편인 을목은 편관이 되므로 자신의 야성적인 측면에 대한 두려움때문에 스스로 억압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 정서적으로 억압되거나 폐쇄된 상황에서 좌절감에 빠진다. 감정이나 느낌이 완전히 사라진 것과 같은 기분에 빠지는 이런 시기가 되면 기운을 잃고 한동안 우울한 시간을 보낼수도 있다. (장마철에 있는 사람의 심리와 같음)

- 일반적으로 자신의 개인적인 행동이나 발전에 열정적으로 몰두하고 강하게 밀어붙이는 경향이 있다. 대부분의 에너지를 자신의 힘과 능력을 키우는 데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자기를 단호하게 주장하고 다른사람이 자기를 진지한 사람으로 인정해주는 것을 좋아한다.

- 크게 두 부류가 있다. 하나는 경쟁심이 강하고 세상에서 성공한 자리에 올라가려는 스타일이고, 다른 하나는 세속적인 성공에는 크게 관심이 없고 개인적으로 최선을 다하는 스타일이다.

 

- 마치 스승과 제자관계처럼 자신을 잘 따르는 사람들과 훨씬 더 잘 어울릴 수 있다. 자기가 우위에 서서 인내하고 이해하며 친절을 베푸는 관계에서 훨씬 더 자기역할을 잘한다.

- 자주 자기세계에 강렬하게 몰두하기 때문에 몰두하는 것에서 벗어나서 좀 헐렁하게 되는 법을 배울 필요가 있다. 이들이 몰두하고 있는 것에서 살살 유혹하여 끌어낼 수 있는 일이나 사람이 이들의 삶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아마 그렇게 해주는 사람이 있다면 그는 최고의 것으로 보상을 받을 것이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