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세(126)
-
(흉살) 괴강살(魁罡殺)
(흉살) 괴강살(魁罡殺) 괴강이란 본디 북두칠성의 가장 앞자리에 있는 밝고 강한 첫 별을 지칭하는 것이다. 글자의 강함으로도 알 수 있는 것이니 살성의 힘 또한 우두머리와 같아 그 힘이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괴강살은 원래 四괴강이라하여 경진, 경술, 임진, 임술을 써왔으나, 현대에 와서 무진, 무술이 추가되었다. 특히 여명이 일주에 적용하여 고독한 운명으로 대게 과부가 되거나 남편덕이 없다고 보는 흉살인데, 이는 아마도 진술이 포태법상 戌은 하늘을 상징하는 火의 庫요, 辰은 땅을 상징하는 水의 庫로서 흉하다 하겠다. 여명이 양일주가 되니 여자답지 못하고 남성적 기질로 부군을 누른다고 하여 흉성으로 보는 것 같다. 고로 갑진, 갑술, 병진, 병술도 괴강과 같은 작용을 한다고 보아야 할 것 이다. 辰..
2021.03.22 -
(공망) 지지공망
(공망) 지지공망 子丑 공망 방위상 북쪽으로서 최상위가 비어있음을 뜻한다. 육친으로는 상위의 조상, 부모, 상사, 선배 등이 이에 해당하며 자축공망이면 차라리 손위의 은혜를 기대하지도 받지도 말고 스스로 자립하라는 것이 근본적인 뜻에 해당한다. 손위 육친의 인덕이 없으면 반대로 손아래 육친을 거느릴 운명에 처한다는 말과 통한다. 그래서 직장생활을 한다면 상사의 억압에 눌리니 차라리 자영업을 하는게 성공확률이 높다. 이는 태어날 때부터 자수성가의 씨앗을 품었기 때문이다. 자녀가 자축공망이면 부모의 의지와 상관없이 자신의 길을 가기 때문에 자녀교육에 열과 성을 다해도 결과에 실망할 수밖에 없다. 자축공망은 간섭을 불허하고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개척정신과 영감이 뛰어나다. 그리고 반드시 인생에 있어 한번의 재..
2021.03.22 -
(공망) 십성(十星) 공망
비견공망 허영을 동반한 자기과시와 독선을 보이며 직업의 잦은 변동이 있다. 고집과 언행일치 부조화 및 운전시 각종 돌발사고를 당하게되며 유산이나 조업을 받기 어렵고, 오히려 채무를 승계하는 경우도 있으며 형제, 친구간 사이가 좋지않고, 가출도 한다. 형제간에 무덕하며 고독하고 협조정신이 부족하게 된다. 고향보다는 객지나 외국에서 성공하는 확률이 많다. 겁재공망 혼자 등산이나 여행시 조난당할 수와 변덕이 많고, 냉정해 인정이 없다. 남이 잘되는 것을 못보며, 형제의 도움을 받기 어렵다. 내면에 진실성이 없어 금전거래시 타인을 잘 속이는 사기기질에 의리가 없고, 약속도 잘 지키지않아 신용이 없다는 주변 평가를 듣기 쉽다. 기혼자는 이혼하기도 쉽다. 식신공망 동업이나 연대보증을 서게되면 어려움이 따르니 조심...
2021.03.22 -
(공망) 육신(六神) 공망
육신(비식재관인, 아신)의 특성에 따른 공망의 작용력을 보면 먼저 공망이 왕기를 띠면 공망의 의미가 사라지고, 전화위복이 되는 셈이니 해당 육신의 장점에 주안을 두고 공망의 작용력과 대칭되는 다양한 해석을 할 수 있다. 가령 비겁이 공망으로 왕기를 띠면 형제나 친구, 동료 층이 더욱 두터워지고 우애가 있다. 다음으로 공망은 物에서 비는 것이지, 象에서 논할 바가 아니다. 따라서 정신의 작용에서 공망은 높이 평가될 요소라 할 수 있다. 상관 공망이 종교계로 진출하는 식이다. 육신에서 비겁이 공망이면 일간 공망에 준해서 살피고 특히 월간, 비겁이 공망될 때 손위형제와 불화하기 쉽다. 그것이 비견이면 동성간이고, 겁재면 이성간의 형제를 암시한다. 여명에 시주, 식신이 공망되면 출산이 여의치않고 자녀의 양육이 ..
2021.03.22 -
(공망) 공망 왕기(旺氣)
공하면 채워지고, 망하면 깨닫는다. 그래서 공망은 일견 무위하고 허무하지만 발전의 조건이 된다. 빈 것이 채워지고 발하려면 기가 살아야한다. 고인들이 공망에 허중유덕하고, 망중유성의 의미가 있다고 한 것은 바로 이 말이다. 빈 수레가 요란하지만, 비지 않으면 채울수가 없다. 무에서 유가 창조될 때는 먼저 공간에 기가 응집되어야 하고 때에 이르러 동해야 한다. 그것이 왕기다. 한마디로 공망이 왕기를 띄면 발복한다는 얘기다. 까닭에 팔자에 공망이 월령을 얻어 왕기를 띠면 도량이 관대하고, 의외의 명리를 구하는 암시가 있다. 왕기는 보통의 생기와는 달라서 적어도 월지의 록왕기를 얻어야만 그것을 논할 수 있다. 즉 월지는 공망에 해당하는 글자의 의미를 파악하는 근거가 된다. 그러므로 월지가 공망이라해도 능히 용..
2021.03.22 -
(공망) 순중공망(旬中空亡), 사대공망(四大空亡)
공망은 크게 순중공망과 사대공망으로 나뉘는데 순공은 먼저 글자로 구분되고, 사공은 납음오행으로 구분된다.(순중공망을 위주로 보고, 사대공망은 참고만 한다). 육십갑자에는 모두 납음오행이 배속되어 있는데 이중 갑술과 갑진의 이순중에는 목화토금수의 납음오행이 온전히 갖추어져 있으나, 나머지 갑자, 갑오, 갑인, 갑신중에는 水나 金의 오행이 비어있다. 이것이 사대공망이다. 순중공망을 구하는 법은 간단하다. 일주에서 육십갑자 순서대로 헤아리면서 갑을의 글자에 배속되는 지지 두 글자를 공망으로 이끌어낸다. 이를테면 정사일주의 경우 무오, 기미, 경신, 신유, 임술, 계해, 갑자, 을축으로 진행되는데 이때 갑을과 짝을 이룬 자축 두 글자가 공망이 된다. 일주가 갑을이면 육갑을 역행하여 앞의 임계에 배속된 지지 두 ..
2021.03.22 -
(공망) 공망 일반
(공망) 공망 일반 * 공망론은 이수선생의 '팔자공망비약'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공망이란 글자그대로 헛되고 망한다는 의미이다. 最吉의 역술서인 이허중명서(李虛中命書)에서부터 공망이 언급되고있다. 空은 빈 공간이고, 亡은 원망, 아쉬움의 의미라 빈 것을 채우기 위하여 미련을 가지고 끊임없이 추구한다는 의미도 있다. 공망을 일본에서는 天中殺이라고 한다. 갑자, 을축, 병인, 정묘...계유 순으로 가다보면 戌,亥는 짝이 없는데 하늘의 짝을 잃었다는 의미이다. 천중살로 팔자의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망이 되는 글자인 '戌亥'에 해당하는 글자가 뜻하는 인체에 공망이 들어 문제가 생긴다고 해석하였다. 또한 공망은 비어있으므로 채우고 싶어한다. 그래서 공망이 같은 일주끼리는 공감대가 형성된다. 예..
2021.03.22 -
(길신) 관귀학관(官貴學館)
(길신) 관귀학관(官貴學館) 관귀학관이란 일간의 관성의 장생지를 말한다. 예를 들어 甲乙日은 巳, 丙丁日은 申, 戊己日은 亥, 庚辛日은 寅, 壬癸日은 寅이다. 일주 천간에 미치는 관성의 기운을 살펴보는 것으로 길성의 힘을 가늠할 수 있는 것이며, 천간의 굳건함이 뒤따라야만 하는 길성이다. 日干 甲,乙 丙,丁 戊,己 庚,辛 壬,癸 地支 巳 申 亥 寅 寅 관직에 진출하면 승진이 빨라 직위가 높아진다는 길신이다. 다시말해 관성의 길함을 얻은 사람에게 나타나는 길성이라 할 수 있으며, 관성의 길함이 빛을 잃었다면 관귀학관의 기운을 살리지 못하게 된다. 본 길성이 들면 관운이 매우 길하며, 공직이든 회사에서든 직장 내의 승진과 동료애를 얻을 수 있다. 남명에게는 더없이 중요하며 좋은 것이라 할 것이다. 관귀학관이..
2021.03.22 -
(길신) 삼기(三寄)
(길신) 삼기(三寄) 삼기란 天上三寄, 地下三寄, 人中三寄를 말한다. 기이한 것을 좋아하고 정신이 남과 다르다고 한다. 큰 것을 숭상하며 학문과 예술에 탁월한 재능을 가지고 있다. 자기만의 특이한 능력으로 사회에 공헌한다. 보통은 천상삼기는 갑무경, 인중삼기는 신임계, 지하삼기는 을병정이라고 하는데, 육임과 기문에서는 을병정이 천상삼기가 되고 갑무경의 삼기가 지하삼기가 된다. 이렇듯 삼기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天上三寄 - 甲戊庚 人中三寄 - 辛壬癸 地下三寄 - 乙丙丁 일주를 위주로 하여 순서대로 나와야지만 삼기로 보는데 사주내에 있으면 인품과 정기가 기이寄異하여 박학다능하고 모든 분야에 뛰어난 재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천을귀인이나 천월덕이 들면 국가의 큰 재목이 되어 기이한 발전을 하지만 공망이 ..
2021.03.22 -
(길신) 복성귀인(福星貴人)
(길신) 복성귀인(福星貴人) 일간과 지지를 본다. 만약 甲일간이 지지에 寅을 가지고 있으면 복성귀인이 있다고 한다. 이처럼 갑인, 을축, 병자, 정유, 무신, 기미, 경오, 신사, 임진, 계묘 간지 조합을 복성귀인이라 한다. 일간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지지 寅 丑 子 酉 申 未 申 巳 辰 卯 수복(壽福)을 뜻하는 길신이므로 일생동안 복록이 따르는 편이며 부귀장수한다. 지지의 시기에 따라 발복하니 년월일시의 시기에 따라 길吉 작용이 다르다고 본다. 년지는 조상의 음덕, 생활터전의 유복함이 있고, 월지는 부모의 유산이나 직업의 혜택, 일지는 부부금술이 좋고 원만한 결혼 생활, 자수성가를 하며, 시지에 있으면 자신의 발전과 부의 축적을 의미한다. 복성귀인은 시지(時支)에 있으면 더욱 좋다. 그러..
2021.03.22 -
(길신) 천의성(天醫星)
(길신) 천의성(天醫星) 천의성은 활인성이라고도 한다. 의(醫)는 의원, 의사, 의술을 의미한다. 하늘이 부여한 의사라는 의미로 활인(活人)의 성분을 가지고 있다. 사주 월지의 직전 지지가 천의성이다. 즉 寅월생이면 丑이 천의성이고, 辰월생이면 卯가 천의성이 된다. 천의성이 투간한 천간도 천의성으로 본다. 卯월생이면 寅이 천의성인데 천간에 甲목이 투간해있다면 甲목을 천의성으로 보기도 한다. 월지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천의성 亥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천의성은 직업인연에 상당히 활용가치가 높다. 천의성이 있으면 타인의 인명을 구하는 의사, 약사, 간호원, 종교인, 교육자 등 활인업에 종사하면 적성이다. 또는 역술인, 자동차나 전자제품 수리공 등도 어울린다. 사주에 따라..
2021.03.22 -
(길신) 황은대사(皇恩大赦)
(길신) 황은대사(皇恩大赦) 황은대사란 황제의 은혜를 입어서 중죄를 사면받는다는 의미이다. 월지月支를 기준으로 일지日支, 시지時支에 대조하여 본다. 月支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황은대사 申 未 戌 丑 寅 巳 酉 卯 子 午 亥 辰 황은대사란 임금의 사면과 같은 힘이 나를 보살핀다고 말할 수 있다. 살아가면서 어려움과 곤란에 처했을 때 귀인이 나타나 도와주는 것이다. 월지를 기준으로 일지 또는 시지에 황은대사가 있고 사주구조가 좋으면 죄를 짓거나 어려움에 처해도 천우신조가 있게 된다. 감옥에 있는 죄인이 특사를 받아 석방되거나, 학생이 퇴학대신 근신처분 받는 경우, 큰 사고가 났지만 가볍게 다친 경우는 황은대사의 작용이라고 볼 수 있다. 택일에도 적용한다. 그러나 길성이라 하여 모두가 빛..
2021.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