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세(126)
-
천간합의 원리
천간합의 원리 십간 십이지지의 기원은 갑골문으로 올라간다. 은상시대에는 간지로 날짜를 기록했으니 간지의 기원은 갑골문자시대로 거슬러 올라가 유추할 수 있다. 기원에 대해서는 대요 창제설, 천황씨 창제설, 황제시대 하강설 등이 있다. 그러나 설일 뿐 너무 오래전의 일이라 지금 기원을 명확히 밝히기는 어렵다. 10간은 천간이라 하며 수에 의하여 甲은 1, 乙은 2, 丙은 3, 丁은 4, 戊는 5, 己는 6, 庚은 7, 辛은 8, 壬은 9, 癸는 10이 된다. 천간합이 이루어지는 원리는 하도(河圖)에 있으니 먼저 10개의 천간과 10개의 수의 관계를 알아야한다. 복희시대로부터 전해오는 하(河)에서 나온 용마(龍馬)의 등에 적혀있는 그림에서 1은 6과 서로 합이 되어 그림의 아래쪽(北)에 위치하고, 2는 7과 ..
2021.03.10 -
도입(導入)
삼명통회에 수록된 옥정오결(玉井奧訣)에는 "天干專論生剋制化, 地支專取刑衝破害"라고 하여 천간은 오로지 생극제화로 논하고, 지지는 오로지 형충파해를 취한다고 하였다. 형충회합에 대해서는 과거의 명리 대가들도 각자 다른 입장을 취했다. 진소암, 임월초 등은 중요성을 두지않았고, 심효첨도 충은 중시하였으나 형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는 입장을 취했다. 기타 국내의 다수의 학자나 명리가들도 충은 깨지고, 형은 감옥에 가서 나쁘다거나 때로는 발전할 때도 있다는 정도로 설명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형충회합에 대한 세밀한 관찰없이 사주를 판단하는 것은 중요한 부분을 놓치는 것이므로 형충회합이 어렵다고 해서 소홀히 할 부분은 아니다. 여기서의 형충회합은 두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형충회합론'은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
2021.03.10 -
당사주 (唐四柱) 십이지지 의미
사람의 생년,생월,생일,생시와 천상에 있다고 하는 12성의 운행에 따라 인생의 길흉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일반사주와는 보는 방법이 다르다. 일반사주는 생년월일시에 해당되는 간지(干支)의 상생, 상극과 오행의 강약, 대운(大運)과 세운(歲運)의 순환에 따라 길흉이 결정되는 법이지만, 당사주는 간지의 상생과 상극에는 상관이 없고 오직 12성의 조우(遭遇; 우연한 만남)로 길흉을 판단한다. 이 점법은 원래 당나라 때 이허중(李虛中)이 하늘에 있다고 하는 천귀(天貴), 천액(天厄), 천권(天權), 천파(天破), 천간(天奸), 천문(天文), 천복(天福), 천역(天驛), 천고(天孤), 천인(天刃), 천예(天藝), 천수(天壽)의 12성을 인간의 생년월일시와 관련시켜 인간의 길흉을 판단하는 방법으로 이용하였기 때문에 ..
2021.01.18 -
사주 년월일시로 보는 정인
1. 정인이 년간에 있을 때 년간은 양육받아야하는 초년시절의 나의 심리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므로 어린시절 내가 받는 통제력이 된다. 주로 부모가 되고, 주로 부친이 된다. 부모랑 함께 살지못한다면 나를 양육하는 사람이 되어질 수 있다. 첫인상, 가문, 조상 등. -년간에 정인이 있으면 양육자가 나를 받아주고 보다듬어주는 것으로 한없이 자상한 부친이라 인식하게된다. 내가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들어주려고 노력하는 것이 보인다고 느낀다. -정인의 심리구조에 썼듯이 나에게 잘해주므로 오히려 부친의 엄한지도가 먹혀들지 않는다고 봐야할 것이므로 어려서의 교육에는 문제가 있을 가능성도 고려해봐야한다. -정인의 부드럽고 자상하고 원만한 수용성으로 인하여 자신이 통제를 받았는지도 모르고 수용을 하게 된다. 주는대로 잘..
2021.01.16 -
사주 년월일시로 보는 편인
1. 편인이 년간에 있을 때 년간은 양육받아야하는 초년시절의 나의 심리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므로 어린시절 내가 받는 통제력이 된다. 주로 부모, 부친이 된다. 부모랑 함께 살지못한다면 나를 양육하는 사람이 되어질 수 있다. 첫인상, 조상, 가문 등 -초년시절 편인을 보았다는 것은 통제받기보다 수용성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것이 되는데, 편인적으로 세상을 바라보니 눈치가 빠르겠다. 학습에 관심이 많을 수 있다. 책읽는 것을 좋아한다. -부모궁에 편인이 있으면 부친은 나에게 신경을 쓰는 것에 대해서 귀찮아 할수도 있다. 도움을 요청하면 마지못해서 들어주는 형태가 되는 것으로 본인이 인식을 하기 때문이다. -어렸을 때는 나를 극하는 통제성분이 편인으로 바뀌어있으니 통제하는 능력이 많이 떨어진다.(대신 콩쥐처럼 수..
2021.01.16 -
사주 년월일시로 보는 정관
1. 정관이 년간에 있을 때 년간은 양육받아야하는 초년시절의 나의 심리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므로 어린시절 내가 받는 통제력이 된다. 주로 부모, 부친이 된다. 부모랑 함께 살지 못한다면 나를 양육하는 사람이 되어질 수 있다. 첫인상, 가문 등 -초년에 자신의 행동에 통제를 하려는 사람이 있다. 좋은 의미로는 예의를 잘 배우는 것이 되고, 나쁜의미로는 무슨 일이라도 마음대로 하지못하고 항상 승인을 받아야만하는 통제를 받게 되므로 스스로 자기가 검열을 해서 통과하지 못할 것같은 내용은 이야기를 꺼내지도 않는다. -주로 부친이 이런 역할을 담당하는 가정이 많으므로 부친의 통제를 받는 경우가 많으나 정관 성분이므로 남들에게 이야기할 대는 좋은 부친이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으며, 실제로 모범적인 부친을 둔 경우 자..
2021.01.16 -
사주 년월일시로 보는 편관
1. 편관이 년간에 있을 때 년간은 양육받아야하는 초년시절의 나의 심리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므로 어린시절 내가 받는 통제력이 된다. 주로 부모가 되고, 주로 부친이 된다. 부모랑 함께 살지못한다면 나를 양육하는 사람이 되어질 수 있다. -태어나서 맞이한 상황이 편관이므로 호랑이를 옆자리에 두고 있는 것과 같다. 조심성이 많을 수 있다. -초등학생때나 학창시절에 반장 부반장 등 임원을 해볼 수도 있다. -부모가 매를 든 격이라 부모가 무섭다고 생각할 수 있고, 내가 하기싫은 일도 억지로 해야한다고 할 수 있다. -어려서 마음이나 육체적으로 고통을 당할 암시도 된다. -윗사람에 대한 두려움에서 비롯된 인간관계에 대한 두려운 마음으로 사람사귀는 것이 원활하지 못할 암시가 있다. -어려서 마음의 상처를 많이 입..
2021.01.15 -
사주 년월일시로 보는 정재
1. 정재가 년간에 있을 때 년간은 양육받아야하는 초년시절의 나의 심리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므로 어린시절 내가 받는 통제력이 된다. 주로 부모가 되고, 주로 부친이 된다. 부모랑 함께 살지못한다면 나를 양육하는 사람이 되어질 수 있다. -어린시절에 정재를 보았다는 것은 안정된 재물환경에 살고있거나, 안정된 삶을 꿈꾸는 사람이 되어질 수 있다. -부친은 편재인데 정재로 나와있으니, 부친의 인생이 피곤하거나 어딘지 모르게 남들과 다른 삶의 모습을 가진 부친이거나 내 인생에 도움이 안되는 부친을 두고있을 수 있다.(년간뿐만 아니라 다른 곳에 편재는 없고 정재만 있을 경우 이런 부친일 수 있다.) -계산기처럼 꼼꼼하게 따지고 들 수 있다. -재성은 내가 통제하고자하는 성분이니 대충대충 넘어가는 것을 못마땅하게 ..
2021.01.15 -
생지 왕지 고지의 성격
삼합(三合) 생지(生地) 왕지(旺地) 고지(庫地) 봄(木) 亥(해수) 卯(묘목) 未(미토) 여름(火) 寅(인목) 午(오화) 戌(술토) 가을(金) 巳(사화) 酉(유금) 丑(축토) 겨울(水) 申(신금) 子(자수) 辰(진토) 사생지(장생지) ―인신사해 (寅申巳亥) 계절의 시작, 생지라 희망과 역동의 기운이 넘쳐 한 곳에 머물지 못하므로 역마의 기운이 강하다. 사주에 인신사해 두 글자 이상이면 미래지향적인 삶과 활동적이고 이동이 많은 삶을 살게된다. 무엇이든 시작하고 도전하기는 잘하지만 끝맺음을 잘 못하는 경향이 있다.(어린이 또는 청소년기를 연상) 장생지는 다음 계절에 일어날 소식을 알고있기에 마음과 몸이 늘 바쁘고 분주하다. 역마, 추진력, 활력, 생동감 사왕지(제왕지) ―자오묘유 (子午卯酉) 계절의 절정,..
2021.01.13 -
사주 년월일시로 보는 편재
1. 편재가 년간에 있을 때 년간은 양육받아야하는 초년시절의 나의 심리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므로 어린시절 내가 받는 통제력이 된다. 주로 부모가 되고, 주로 부친이 된다. 부모랑 함께 살지 못한다면 나를 양육하는 사람이 되어질 수 있다. - 육친 대비로 보면 부친은 편재에 속한다. 어린시절 정신세계에 편재가 들었다는 것은 당연한 나의 권리처럼 부친을 바라볼 수 있다. 부친은 나의 양육자로 나는 부양받을 권리를 갖고태어난 것 같은 생각이다. 그러니 고마움보다는 당연하다고 생각하게 된다. - 부친은 내가 커가는데 필요한 영양소를 공급해주는 사람으로 필요한 존재임을 알고있지만, 다만 부친이 어떻게 노력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다. 그냥 나를 부양하기만 하면 되는 것이니 부친의 입장에서 피곤하겠다. - 본..
2021.01.04 -
사주 년월일시로 보는 상관
1. 상관이 년간에 있을 때 년간은 양육받아야하는 초년시절의 나의 심리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므로 어린시절 내가 받는 통제력이 된다. 주로 부모가 되고 주로 부친이 된다. 부모랑 함께 살지 못한다면 나를 양육하는 사람이 되어질 수 있다. -상관은 멋대로 할 것 같은 성분이면서도 사교성이 좋은 성분이다. 어린시절 상관을 만났다는 것은 친구들과 놀이를 통해서 즐겁게 살고자한다. -대화하는 수단이 좋아서 타협을 잘 하므로 무슨 일을 맡겨도 문제없이 처리를 잘해서 수완이 좋은 사람으로 인정을 받는다. -부모와의 관계에서도 유정한 형태일 가능성이 있다. -초면에 사람들과의 관계를 여는데는 잘할 수 있지만, 상관이 적절하게 제어를 받지않으면 직장생활이나 대인관계에서 자신이 만든 구설로 오래 다니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
2021.01.04 -
사주 년월일시로 보는 식신
1. 식신이 년간에 있을 때 년간은 양육받아야 하는 초년시절의 나의 심리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므로 어린시절 내가 받는 통제력이 된다. 주로 조부모, 부모가 되고 주로 부친이 된다. 부모랑 함께 살지 못한다면 나를 양육하는 사람이 되어질 수 있다. - 년간은 태어나서 처음 접하는 환경에서 체감하는 감정이다. 그곳에 식신이 있다는 것은 낙천성이 있을 수 있다. 놀이를 즐기고 자신이 뭔가 궁리할 거리를 찾아서 놀이삼아 즐겁게 보낼 수 있다. - 자신에 대한 자부심, 자신감이 있고, 남을 따라하지않는다. - 마음에 드는 일에 열성을 다할 수 있다. - 부모를 자식같은 부모로 생각할 수 있고, 자신이 돌봐드려야겠다는 생각을 가질 수 있다. - 부모를 허물없이 대하는 태도를 갖게된다. - 초년시절 통제를 받는 궁에..
2021.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