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9)
-
술월(戌月)의 특징 (양력 10월8일 ~ 11월7일경)
1. 술월은 한로와 함께 시작한다. (양력 10월8일경) - 한로는 태양이 황경 195도의 위치에 올 때이다. 음력으로는 9월의 절기로서 공기가 차츰 신선해짐에 따라 이슬(한로)이 찬 공기를 만나 서리로 변하기 직전의 시기이다. - 한로 즈음은 찬 이슬이 맺힐 시기여서 기온이 더 내려가기 전에 추수를 끝내야하므로 농촌은 오곡백과를 수확하기 위해 타작이 한창인 때이다. 한편 여름철의 꽃보다 아름다운 가을 단풍이 짙어지고, 제비같은 여름새와 기러기같은 겨울새가 교체되는 시기이다. - 한로는 입추, 처서, 백로, 추분, 상강과 함께 가을 절기에 해당되며 세시명절이라기보다는 다만 기후의 변화를 읽는 절기로 유용했다. - 한해 중에서 가장 좋은 때가 시작되고 있다. - 한로 상강 사이에는 놀고 즐기는 일만 있지는..
2021.08.21 -
자월(子月)의 특징 (양력 12월7일 ~ 1월4일)
1. 子月은 대설(大雪)과 함께 시작한다. (12월7~8일경) 대설은 24절기 가운데 스물한번 째에 해당하는 절기이다. 일년 중 눈이 가장 많이 내린다는 절기인 대설은 시기적으로는 음력 11월, 양력으로는 12월 7일이나 8일 무렵에 해당하며 태양의 황경은 255도에 도달한 때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에서는 음력 10월에 드는 입동(立冬)과 소설, 음력11월에 드는 대설과 동지 그리고 12월의 소한(小寒), 대한(大寒)까지를 겨울이라 여기지만, 서양에서는 추분(秋分) 이후 대설까지를 가을이라 여긴다. - 동양에서 12월 초 대설에 이르면 추운 겨울을 대비하여 이제 어떻게 마무리를 해야할지를 놓고 이런저런 생각을 진지하게 해볼 때이다. - 대설이 되면 외형은 좋을지 몰라도 내적 운기는 이미 급격히 고갈..
2021.07.31 -
대운과 질병
신체의 오장육부에서 다가오는 대운의 부위는 건강하고 지나간 대운의 부위는 약해지는 것이니 지나갔거나 지나가고있는 대운의 부위의 질병을 집어주는 것이 통변의 요령이다. 질병을 집어서 말해주는 비법을 설명하면 먼저 천간과 지지의 인자(因子)가 의미하는 바를 숙지하고 있어야 하는데 그 인자가 담당하는 오장육부는 아래와 같다. 甲목(寅목) - 담(膽) 乙목(卯목) - 간(肝) 丙화(巳화) - 소장(小腸) 丁화(午화) - 심장(心腸) 戊토(辰戌토) - 위장(胃腸) 己토(丑未토) - 비장(費腸) 庚금(申금) - 대장(大腸) 辛금(酉금) - 폐(肺) 壬수(亥수) - 방광(膀胱) 癸수(子수) - 신장(腎腸) 특히 寅목, 巳화, 午화대운에서 생기는 질병의 특징은 寅목대운 말부터는 심각한 탈모가 진행되기 시작하며 巳화대운..
2021.05.06 -
미토(未土)
未土 - 물상 - 조미료, 양념, 물감, 비료, 어음수표 - 방위 - 서남, 여름, 선천수 8 - 질병 - 허리병, 중풍, 마비증세 - 남녀 모두 바람나기 십상이다. - 未운시에 있으면 기호식품(담배, 술, 커피)의 맛에 대해 도통하고 맛만 보고 지내는 사람이어서 게을러진다. - 감미현혹 - 감미로운 맛이 아찔하게 느껴지는 감각 - 본사태만, 본사소홀 - 자기가 할 일에 태만하고, 주업에 소홀하고 취미삼아 하는 일에 몰두하나 망한다. - 오후 2시무렵은 점심 직후라 일을 야무지게 안하고 대강대강하는 것이 끝을 못보고 일을 거칠게 대강한다는 뜻이다. - 未의 인자는 볏단을 묶어놓은 모양으로 우중 풍우에 지체 불편한 상이며, 천재지변에 우여곡절을 당해서 아주 놀라고 당황한 상태 1) 未生 - 어려서 부모나 ..
2021.03.28 -
사화(巳火)
巳火 - 자원 - 起(일어나다, 날다, 솟아오르다) - 물상 - 정류장, 종점, 대형차량, 치아, 전화, 담배, 편지 - 동남방, 선천수 4 - 질병 - 치과병, 치통, 요통, 배앓이(냉병), 위가 냉하다 - 巳운시 - 충효스럽고 효자가 많다. 맏며느리감, 부모 모실 수 있다. 웃어른 모셔야 할 팔자. - 업무시간, 단체활동, 결재가 활발한 시간 - 성실 일변도로 이것이 마지막이라는 생각으로 진추진하며 모로 가도 서울만 가자는 식 巳生 또는 원국에 巳가 있는 사람 - 부양의무가 있는 사람 - 적십자정신, 근면활동, 도덕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 뜻으로 巳월에는 농촌에서 제일 바쁜 달이다. - 과거를 화끈하게 이야기해주는 것이 좋고, 빨리 결혼하는 것이 좋으며 잘 살고 부부간에 정이 있다. - 느긋하게 있을..
2021.03.28 -
진토(辰土)
辰土 - 물상 - 외래품, 불청객, 범법자, 특허, 비밀장소, 위조 - 동남, 선천수 5 - 진운 - 위장, 피부병 등 고질병 - 요령불발, 애정고갈 辰生 또는 辰 일주의 성질 - 원국 辰 - 귀신같은 기발한 머리 발명특허 상품에 마음을 두고있고, 남의 물건을 조금 변형해서 크게 융성시킵니다. - "히트"와 "모험"을 시도, 이상적이며 호기심을 채우고자 한다. 무면허 영업 - 약도 잘 짓고 침도 잘 놓지만 면허있는 사람은 아니다. - 부당한 방법으로도 머리가 잘 돌아가며, 개발, 모방, 발명 등에 뛰어난 재능이 있다. - 다방면으로 소질이 있고 박식하며 허풍도 잘 떤다. - 고급스러운 것보다 싸구려장사, 박리다매 식으로 도소매가 좋다. - 서민 상대가 편하다. - 辰時生 - 대체로 뚱뚱하며, 자녀를 유학..
2021.03.28 -
묘목(卯木)
卯木 - 자원 - 柳(버들 유) - 물상 - 선풍기, 노동자, 건축업자, 그릇, 신경환자, 운동구, 비누 - 동방, 선천수 6 - 질병 - 간, 손, 눈, 불면증, 잠이 부족하고 신경이 예민 - 마른사람이 많고 신진대사가 활발 - 卯의 성질은 동요가 심하여 안식처를 갖지못하여 항상 분주하게 행동함으로 이웃을 괴롭힌다. 卯生 - 아무리 온화한 성격의 소유자라도 쌀쌀하게 보이며, 오랫동안 앉아있지를 못한다. - 학업중단의 경험이 있고, 대신 뭐든지 배우려고 하는 학구열이 대단하다. - 자기집안에서 자기만 빼놓고는 모두가 잘 산다고 느낀다. - 원래 싹을 의미하고 그 싹은 커가는 것이니 결실된 알맹이가 없다. 따라서 돈이 잘 안모이니, 자기만 못살고 딴 사람은 잘 산다는 이야기가 된다. - 여자는 처녀, 색시..
2021.03.27 -
인목(寅木)
寅木 - 자원 - 演(멀리흐를 연, 통하다, 윤택하다) - 물상 - 발전기 나루터, 피아노, 무서운 사람, 건망증 환자, 만신 - 동방, 선천수 7 - 寅 운이 시작되면 잘 놀라고, 심장과 마음이 약해지므로 심장, 담, 두발(탈모)에 이상 - 인오술 대운 - 심장병 - 심장은 약해도 배짱이 좋다. - 寅 대운 - 민형사 사건, 소송사건이 발생하면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으나, 구속이 될 수 있으니 합의가 최선 寅生 - 寅이 원국에 있으면 고독, 외롭고 밤을 좋아하고 육식을 좋아하고 자연히 신앙심이 생긴다. - 산신령의 가호로 태어난 사람, 불공으로 태어난 사람, 불교랑 인연 - 산을 좋아하고 소심해지는 수가 있다. - 누구라도 호랑이가 무서워서 접근을 안하므로 본인이 타인을 호랑이 굴로 초대하지않고 초대받은..
2021.03.25 -
천간 무토
戊土 - 무토는 사계절 모두를 포함. 방향은 중앙 - 성곽토이며 농사짓기 위한 흙이 아닌 딱딱하게 굳은 흙을 상징 - 높고도 큰 산, 넓은 들판, 강과 호수를 막는 제방, 높은 언덕이나 고개 성곽이나 축대에 비유 - 신의, 무거우며 보수적이며 입이 무겁고 비밀스럽다. - 중립을 의미하면서도 대립과 파벌의 상징이 되기도 한다. - 사주 원국에 무토가 있으면 먼저 공격하지 않지만 상대방이 공격하면 죽기살기로 싸운다. - 비사교적이라 파벌싸움에 휘말린다. 행운(行運) - 무토대운에 회사를 다니면 파벌다툼이나 노동쟁의 등이 발생 (싸움에 말려들지 말고 한쪽으로 치우치지말며 중용을 지키는 것이 최선이다) - 일대일이면서도 한편으로는 파벌싸움이기도 하다. - 단체고소, 하나의 목표를 위해 싸우는 것 - 무토대운에는..
2021.03.24